다음 글은 전체 내용을 공유하지 않고, 새로운 블로그로 링크를 제공하는 글입니다. 이어보기 : https://thdev.tech/android/2019/11/30/RxJava-Corotuines-01/ 약 1년 전 Coroutines을 처음 다루었고, RxJava에 대해서 조금 익숙하게 사용할 시점에 작성했던 글이다. RxJava와 Kotlin Coroutines 비교해보기 - 링크 그간 지원은 다음과 같다. 2019 Google I/O에서 Coroutines을 적극 도입하기로 하였고, ViewModel/LiveData 등을 위한 CoroutineScope을 제공하고, Coroutines에서도 RxJava Cold Observable과 유사한 Flow를 제공한다. Kotlin/Coroutines은 계속 ..
다음 글은 전체 내용을 공유하지 않고, 새로운 블로그로 링크를 제공하는 글입니다. 이어보기 : https://thdev.tech/2019/11/17/2019-11-17-UI-Test-01/ Android Studio Espresso Recorder 활용한 UI 테스트에 대해 알아보았는데, 부족한 점이 있었다. 그래서 이번 글을 통해 Espresso Recorder에서 생성해준 코드에 부족한 부분을 채워 보려고 한다. 결론부터 적어보면 Espresso Recorder Recorder를 활용하는 경우 Android UI가 다 그려졌는지에 대한 여부는 제공하지 않는다. 이전 글 : 안드로이드 Espresso Recorder 활용한 UI 테스트 완전하지는 않지만, 최소한 UI가 그려지는 시점을 알 수 있을 것 ..
다음 글은 전체 내용을 공유하지 않고, 새로운 블로그로 링크를 제공하는 글입니다. 이어보기 : https://thdev.tech/android/2019/09/02/Android-Studio-Espresso-Recorder/ Google에서 제공하는 UI 테스트 방법은 Espresso을 이용할 수 있고, 전역에서 간단하게 테스트 가능한 UI Automator를 제공하고 있다. 그리고 좀 더 테스트를 편하게 제공하기 위해서 Android Studio에서 제공하는 Espresso Recorder가 있다. 이번 글에서는 Espresso Recorder를 알아보자. Espresso Recorder Espresso Recorder(Google Document)는 Android Studio에 포함되어있는 기능으로, ..

다음 글은 전체 내용을 공유하지 않고, 새로운 블로그로 링크를 제공하는 글입니다. 이어보기 : https://thdev.tech/android/2019/07/14/Android-Kotlin/ 구글 안드로이드 개발에서 Kotlin을 지원한지 2년이 흘렀고, 2019년 Google I/O에서는 완전한 메인 언어로써 자리매김했음을 공식화했다. GDG 부산에서 발표한 내용을 토대로 어떠한 변화가 있었는지 정리해보려고 한다. 2016년에 시작한 코틀린 2016년부터 학습한 Kotlin 관련 History를 간략화해본 그림이다. 다음 글은 전체 내용을 공유하지 않고, 새로운 블로그로 링크를 제공하는 글입니다. 이어보기 : https://thdev.tech/android/2019/07/14/Android-Kotlin/
다음 글은 전체 내용을 공유하지 않고, 새로운 블로그로 링크를 제공하는 글입니다. 이어보기 : https://thdev.tech/google%20io/2019/05/15/Google-IO-2019-Whats-New-Android/ 순서상 Google Developer Keynote 이후 What’s New Android가 나온다. 그래서 중복적인 내용이 있으나, 36분간 안드로이드 이야기로 꾸려지며, 이번 Google I/O 기간 Android에서 어떤 내용이 나올지가 여기에서 소개된다. 올해는 그중 Android에서 코틀린 First가 메인 소식 중 하나인데 여기에서 가볍게 소개하고 있다. 다음 글은 전체 내용을 공유하지 않고, 새로운 블로그로 링크를 제공하는 글입니다. 이어보기 : https://th..
다음 글은 전체 내용을 공유하지 않고, 새로운 블로그로 링크를 제공하는 글입니다. 이어보기 : https://thdev.tech/google%20io/2019/05/10/Google-IO-2019-Architecture-Components/ 2019년 Google IO 중 Architecture Components 세션에서 소개한 내용을 몇 가지 정리한다. 세션 내용은 아래에서 감상할 수 있다. Jetpack Architecture Components Architecture Components는 이미 너무 많이 사용하고 있다고 하는데, 아래와 같이 수치를 공개해주었다. 다음 글은 전체 내용을 공유하지 않고, 새로운 블로그로 링크를 제공하는 글입니다. 이어보기 : https://thdev.tech/goog..

다음 글은 전체 내용을 공유하지 않고, 새로운 블로그로 링크를 제공하는 글입니다. 이어보기 : https://thdev.tech/google%20io/2019/05/08/Google-IO-2019-Developer-Keynote/ 2019년 Google IO의 개발자 키노트 소개 중 안드로이드 관련을 정리한다. 2017년 Google IO 후기 2018년 Google IO Developer Kyenote 일부 정리 자세한 내용은 What’s New Android 세션에서 자세하게 다루겠지만 주요 내용을 Chet Haase가 짧게 정리해주었다. Kotlin 관련 안드로이드에서 코틀린은 이제 기본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실제 수치로 알 수 있는데 50%의 안드로이드 개발자가 코틀린을 활용하고 있고, 가장 빠..
다음 글은 전체 내용을 공유하지 않고, 새로운 블로그로 링크를 제공하는 글입니다. 이어보기 : https://thdev.tech/coroutines/2019/04/30/Coroutines-Job-Exception/ 이전 글에서 Kotlin coroutines을 제어할 수 있는 Job에 대해 알아보았다. 기본적인 Job 초기화 후 사용한데 어떤 방법이 좋을까? 먼저 이전 글에서 초기화 때 적용했던 방법을 다시 살펴보자. val job = Job() CoroutineScope(Dispatchers.Default + job).launch { // ... } 이 코드는 CoroutineScope 초기화 시 Job을 함께 초기화하여 사용한다.(+를 이용하여 초기화한다.) 이렇게 초기화 함에 따라 Coroutine..
- Total
- 5,778,758
- Today
- 376
- Yesterday
- 800
- Android MVP
- HTC EVO4G 업데이트
- 안드로이드 원격 컨트롤
- 이슈
- IT
- 안드로이드 원격
- C언어 note 작성
- 코틀린
- Facebook Messenger
- 넥서스 9
- 코루틴
- 개봉기
- Dropbox
- 픽셀 XL
- kotlin
-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 google drive
- 구글 픽셀
- 안드로이드
- 카카오톡
- Pixel XL
- dropbox api
- RxJava
- 리뷰
- Splashtop Remote Desktop
- Android
- 윈도우 맥 원격 접속 프로그램
- 안드로이드 MVP
- Google HackFair
- 윈도우 원격